김희찬이 재정의한 쇼메의 고유성
고유한 방향성을 두고 결코 흔들리지 말 것. 쇼메와 마주한 김희찬 작가가 오랜 시간 나무의 결과 색을 매만지며 이른 결론을 되짚었다.
현대 예술과 자연의 소중함을 기념하는 쇼메와의 특별한 협업을 프리즈 서울 기간에 서울 쇼메 라운지에서 최초 공개한다. 뉴욕을 기반으로 활동하기에 한국에서 작품을 선보이는 것에 대한 감회가 남다를 것 같다.
실은 지난 10년 동안 조각에서 손을 아예 뗀 채로 살았다. 그러다 지난해 밀라노 디자인 위크에서 열린 한국 공예 전시 <공예의 변주(Shift Craft)> 이후 정말 오랜만에 작업을 재개했다. 그 결과 감사하게도 런던과 파리에서 작품을 전시할 기회가 생겼다. 한국에 작품을 보여주고 싶은 마음은 항상 갖고 있었는데 이번 쇼메와의 협업으로 드디어 모국인 한국에 갈 수 있어 기쁘다. 마지막으로 방문한 것이 2015년이었는데, 무려 10년 만이다! 바깥에서 바라보면 한국은 정말 빠르게 변화하는 나라다. 이번에 직접 목격할 한국의 역동성이 이후 내 작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정말 기대된다.
쇼메와 완성한 이번 작품의 이름은 무엇이며 어쩌다 탄생했나?
‘#18’. 비슷한 형태에 대한 개인 연구의 일련번호이기도 하다. 아시아 이민자로서 비언어적 소통에 깊은 흥미를 느끼며 살아왔다. 그런 관심으로 내 작품은 촉각을 주요 감각으로 활용한다. 관객이 텍스트 기반의 틀 없이 작품을 경험할 수 있게 하는 데 관심이 많은데 그럼으로써 더 자유롭게 자기만의 의미를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호두나무로 작업한 것은 처음이라고 들었다. 낯선 재료를 매만지는 과정에서 어떤 새로운 즐거움을 누렸나?
모든 나무는 고유한 아름다움을 타고났다. 호두나무는 깊고 풍부한 초콜릿 같은 색감이 특히 아름답다. 어두운색의 호두나무는 나무의 성숙한 부분과 어린 부분이 보여주는 색의 대비가 심한 편이다. 이번에는 그 차이가 비교적 덜한 밝은색의 나무를 사용했다. 다채로운 색상에 몰두한 경험이 무척 즐거웠다. 그간 나무를 대해온 방식에도 변화가 생길 것 같은 느낌이다. 재료 본연의 아름다움, 자연미에 대한 경외감도 더욱 깊어졌다.
“자연이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을 작업 철학으로 이야기한 적 있다. 이번에도 그런 식으로 작업했나? 그런 방향성을 갖게 된 계기는?
인류가 탄생한 이래 인간은 늘 자연과 싸워왔다. 생존을 위해 다양한 물건을 만들면서 자연(재료)을 원하는 방식대로 사용하기 위한 독특한 방법(기술)도 필요해졌다. 심지어 상상 속 사물을 구현할 수 있는 3D 프린팅까지 출현했다. 그런 세상에서 자연스럽게 ‘메이킹’의 본질적인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게 됐다. 내 작업은 인간과 자연이 누렸던 친밀한 관계를 다시 연결하고 회복하기 위한 노력이다. 자연이 형태를 이루는 방식을 연구하고 재료가 스스로를 제어하는 방식을 존중하며 내가 고른 재료가 형태를 이뤄가는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한다.
자연에 압도된 경험이 있나? 위력, 순수한 아름다움, 광활함, 정교한 조형성 등 당신이 자연에 대해 가장 감탄하는 지점은 무엇인가?
압도적으로 혼란스러워 보일 때라도 그 안에는 명백한 질서가 있다는 것. 패턴이 있고, 규칙이 있다는 점이 경이롭다. 나뭇잎의 프랙털 구조와 조개껍데기가 보여주는 대칭성은 혼돈과 질서 가운데서도 완벽한 균형을 보여주며 감탄을 자아낸다. 개인적으로는 비행기에서 바라보는 공중 시야와 자연이 품은 미시적인 아름다움을 맞닥뜨리는 걸 좋아한다.
나무를 주로 다루는 당신에게 보석은 미지의 존재로 느껴질까? 보석에서 미학적인 흥미를 느끼는 부분이 있다면?
나무를 주재료로 사용하긴 하지만 돌도 좋아한다. 보석은 근본적으로 돌이다. 혹시 현미경으로 보석을 들여다본 적 있나? 현대미술처럼 느껴질 거다. 안팎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움이 정말 대단하다.
240년 이상의 역사를 자랑하는 쇼메는 계승 작업을 중시한다. 물푸레나무와 구리철사를 사용하는 조선 기술을 비롯해 다양한 한국 전통 공예를 실험하고 계승하는 과정에서 느낀 것은 무엇인가?
전통적인 공예 기술이든 장인 정신이든 모두 단순히 뭔가를 만드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결국 인간의 이야기다. 우리가 어떻게 살아가는지, 자연과 어떻게 교감하는지 그 안에 전부 깃들어 있다. 전통은 나의 기술이 되었을 뿐 아니라 과거를 존중하며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더 깊은 서사를 향해 작업이 뿌리내릴 수 있도록 해줬다. 나는 항상 작업을 내 손과 나 자신이 확장된 결과로 바라본다. 재료가 내 손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느끼면서 스스로에 대해서도 더 깊이 알게 됐다. 궁극적으로는 나와 재료, 작업이 하나를 이룰 때까지 깊이 연결되고 싶다.
파슨스 디자인 스쿨과 뉴욕 시립대학교에서 교수로 활약하며 더 직접적으로 노하우를 전승하고 있다. 멘토이자 선배로서 지닌 사명감도 있을까?
정보와 지식을 너무 쉽게 손에 넣을 수 있는 세상 아닌가. 학생들에게 나는 항상 모르는 것과 실패하는 것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지 말라고 강조한다. 어린아이가 낯선 세상을 바라보며 품을 법한 호기심을 갖고 살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종종 학생들에게 뚜렷한 결과를 만들어낼 수 없는 프로젝트를 과제로 낼 때가 있는데 삶의 불확실성을 포용하고, 자신만의 독특하고 창의적인 목소리를 발견하도록 격려하기 위해서다.
서울대학교에서 금속공예를 공부한 후 미국으로 건너가 지금껏 예술가로 살게 된 사연이 궁금하다. 삶의 터전이 된 뉴욕은 당신에게 어떤 영감과 자극을 주는 도시인가?
가족과 함께 이민을 갔다. 금속공예를 공부할 당시 내 실력은 꽤 훌륭했다. 하지만 항상 작품의 완성보다는 재료(금속) 자체와 과정, 기술에 더 흥미가 많았다. 미국에서 가구 디자인 학위를 받았지만 그때도 내 관심은 나무라는 재료 그 자체에 머물렀다. 그런 관심에 더해 졸업 후 뉴욕으로 이사해서 정말 다양한 친구들을 만나게 됐는데 그로부터 정말 많은 영감과 자극을 받았다. 할 일도 많았고, 박물관과 갤러리도 무궁무진했지만, 가장 큰 영감은 언제나 사람에게서 왔다. 뉴욕의 폭발적인 에너지와 다양성은 항상 내 작업을 다채로운 각도에서 재구성하도록 부추기며 새로운 경계를 탐험하도록 힘을 실어준다. 그 점이 정말 좋다.
예술가로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원칙 혹은 고집은?
자신에게 진실한 것. 어떤 단계에서든 늘 진정성 있게 행동해야 한다.
- 피처 에디터
- 류가영
- 포토그래퍼
- Tom Ford
추천기사
-
아트
사물에서 발견하는 우리 이야기, '구본창: 사물의 초상'
2024.12.14by 황혜원
-
아트
존재와 움직임 그 사이 비디오, 빌 비올라 개인전 'Moving Stillness'
2024.12.09by 황혜원
-
아트
‘송은미술대상’ 후보 20인의 작품을 만날 수 있는 전시
2024.12.19by 이정미
-
아트
세상을 버티는 일상, '돌과 연기와 피아노'
2024.12.23by 황혜원
-
아트
아라크네의 후예들이 직조한 세계, ‘아라크네 아이’展
2024.12.27by 김나랑
-
아트
한강, 2024 노벨 문학상 수상의 순간
2024.12.11by 오기쁨
인기기사
지금 인기 있는 뷰티 기사
PEOPLE NOW
지금, 보그가 주목하는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