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쁜 상의가 올해 더욱 중요한 이유
최근 구글 트렌드 이메일에 따르면 ‘외출용 상의(Going Out Tops)’에 대한 검색량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곧 사람들이 겨울의 침체기에서 벗어나 외출할 준비가 된 거라고 풀이할 수 있죠. 이 전례 없는 급증은 제가 ‘밀레니얼 컴백’이라는 제목의 이메일을 받은 지 몇 달이 채 지나지 않았을 때 일어났습니다. 1996년 새해 전날, 그러니까 밀레니얼 끝자락에 태어난 저는 대체 이 세대의 어떤 부분이 그토록 많은 이들의 공감을 산 건지 궁금해졌습니다.
![](https://img.vogue.co.kr/vogue/2025/02/style_67aafc66c27b8-933x1400.jpg)
밀레니얼 세대를 대표하는 트렌드를 찾아봤습니다. 콧수염, 밀레니얼 핑크, 그래피티, 스키니 진 정도가 뜨더군요. 하지만 제 향수를 직접적으로 자극하는 키워드는 없었습니다. ‘외출용 상의’를 보기 전까지는요.
구글 트렌드 이메일을 통해 2004년 1월 1일 이후의 미국 데이터를 받아봤습니다(외출용 상의의 전성기는 그 전부터지만요). 제가 살면서 외출용 상의에 대한 검색 기록을 추적한 그래프를 분석하게 될 줄은 몰랐지만, 별개로 결과는 매우 흥미롭더군요. 2010년대에는 총 검색량이 크진 않지만, 몇 번의 결정적인 상승과 하락이 있었습니다. 팬데믹 기간에는 예측할 수 없는 급증이 몇 차례 반복됐죠. 일시적 변동을 제외하면 그 이후부터는 꾸준히 증가하기 시작했습니다. 국가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을지 몰라도 전반적인 흐름은 다르지 않았고요.
이쯤에서 의문이 생깁니다. ‘외출용 상의’란 정확히 뭘까요? 모두가 막연하게 떠올리는 옷이 있을 겁니다. 하나씩 따져볼까요?
![](https://img.vogue.co.kr/vogue/2025/02/style_67ab042f370d1.jpg)
우선 10대 시절에는 (분명히) 부모님이나 조부모님이 싫어하는 옷이었을 겁니다. 평범한 티셔츠가 아닌, 이름 그대로 외출 기분을 제대로 낼 수 있는 옷이겠죠. 자수, 반짝이, 그도 아니면 구슬 장식이 달려 있거나 짧은 길이일 겁니다. 몸에 꼭 맞는 핏이거나 스트랩이 아예 없는 오프숄더 스타일, 시스루 소재, 혹은 대담한 컷아웃을 더한 디자인일 수도 있겠군요. 모든 조건은 전적으로 주관적이고 개인적이겠지만 한 가지만은 확실합니다. 입었을 때 자신감을 준다는 사실이요!
외출용 상의는 이불 밖은 위험하다고 부르짖는 또 다른 나에게 상당히 위협적입니다. 마음에 쏙 드는, 예쁜 외출용 상의가 생기면 ‘너무 피곤해서’ 혹은 ‘입을 옷이 없어서’라는 핑계도 힘을 잃죠. 물론 대가도 톡톡히 치릅니다. 땀으로 흠뻑 젖기도, 알코올(혹은 눈물)을 흘리기도, 잘 지워지지도 않는 얼룩을 묻힐 때도 있습니다. 운이 나쁘면 그 상태로 다음 날 아침까지 입고 있어야 하는 상황이 생기기도 하죠.
![](https://img.vogue.co.kr/vogue/2025/02/style_67ab07a6f3375.jpg)
어느 정도 나이가 들면서 외출용 상의를 따로 구분 짓지 않게 되는 이들도 있겠지만 저에겐 여전히 중요한 카테고리입니다. 심지어 전용 서랍도 있죠. 스타일이 조금 변하긴 했습니다. 대학 시절에는 옷이라고 할 수도 없는, 지금 보면 천 조각에 불과한 상의를 즐겨 입었죠. 하지만 최근에는 조금 더 편안해졌습니다. 클럽뿐만 아니라 온화한 주말과 축제 등 외출의 종류가 다양해졌거든요. 최근에는 코르셋 톱이나 오프숄더, 블라우스를 선호하는 편입니다. 아, ‘외출용 재킷’ 카테고리까지 추가됐고요.
밀레니얼 세대에게 외출용 상의가 특별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외출용 상의는 소셜 미디어가 등장하기 전 외출 문화를 경험하고 즐겼던 이들을 대표하는 아이템이나 다름없습니다. 그 시절 그들이 고른 옷은 오직 그날의 기분과 마주치게 될 사람만 염두에 둔 선택이었겠죠. 남은 기록이라고는 디지털카메라로 찍은 흐릿한 사진뿐이지만요. 구글은 외출용 상의가 ‘다시’ 유행할 거라 예측했지만 사실 밀레니얼 세대에게 이 옷은 사라진 적이 없습니다.
추천기사
인기기사
지금 인기 있는 뷰티 기사
PEOPLE NOW
지금, 보그가 주목하는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