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들이 밝힌 패션계 여성의 커리어란
출산, 폐경, 여성 혐오··· 모두 여성의 커리어 개발에 부인할 수 없는 장애물이다. 그러나 패션계는 정말 우리 생각만큼 여성에게 힘든 곳일까? 우리는 패션계를 이끄는 경영진이야말로 그 질문에 제대로 답할 수 있다고 여겼다. 그리고 그들과 만난 자리에서 커리어 개발에 관한 조언도 몇 가지 얻었다.

MARIE-CLAIRE DAVEU,
Kering Chief Sustainability and Institutional Affairs Officer
패션 산업은 다른 많은 분야보다 더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케어링을 예로 들면 여러 여성 CEO가 우리 회사의 패션 브랜드를 이끌고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커리어를 쌓으면서 많은 장애물에 직면하진 않았습니다. 전통적으로 ‘남성의 전유물’로 여기던 엔지니어링을 선택했지만, 그 분야의 분위기는 친절하고 지원적이었습니다. 여러 남자 동기들이 저와 절친이 되었습니다. 경력 초기에는 다양한 지원 네트워크 마련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멘토든 멘토링 그룹이든, 그 과정에서 영감의 원천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버려야 할 것은 뭘까요? 각자가 지닌 두려움, 여성에 대한 편견을 버려야 합니다. 저는 여성 쿼터제를 강력하게 지지하진 않습니다. 그렇지만 쿼터제가 커리어 개발 과정의 특정 시점에서 발전을 가속화한다는 건 부인할 수 없죠.
HALIDE ALAGÖZ,
Ralph Lauren Chief Product Officer
승진 관행에 스며든 무의식적 편견이 역사적으로 패션계의 성별 불균형을 초래했습니다. 남성은 잠재력만으로도 승진하는 경우가 흔한 반면, 여성은 성과에 따라 승진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이 불균형은 여성에게 매우 제한적인 환경을 조성합니다. 그리고 우리 업계에는 초과근무 문화가 만연합니다. 이런 문화가 종식된다면, 양육 전담자를 위한 더 공평한 경쟁의 장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힘든 업계에서 활동하는 여성은 제한된 가족 친화 정책이나 부족한 근무 유연성 같은 구조적 장벽과 결합된 ‘일과 삶의 균형’ 문제에 직면해왔습니다. 저는 아들 출산 후 두 달 만에 복직했습니다. 밤잠이 부족해 낮에 까다로운 업무를 처리하는 것이 아주 어려웠습니다. 생후 5개월밖에 안 된 아들을 두고, 모유 수유 중이었지만 해외 출장도 자주 다녀야 했습니다. 낮에 모유를 유축해본 엄마들은 출장 중에 그 일이 얼마나 복잡한지 잘 알 거예요. 20년 전 일이에요. 다행히 지금은 여건이 다소 개선됐지만, 워킹 맘 지원을 위해 갈 길이 멀죠. 지금 시작하는 여성에게 해주고 싶은 조언은 ‘자기 자신을 지지하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입니다. 특히 커리어 시작 시점엔 더 그렇습니다. 자신의 목표, 자신이 원하는 것, 성공에 필요한 것을 당당하게 밝히세요. 여러 번 하다 보면 수월해집니다.
NADIA KOKNI,
Hugo Boss SVP of Global Marketing and Brand Communications
팀 리더로서 다양한 역할과 업무를 수행했습니다. 그러나 저와 업무 관련 이야기를 나누는 여성은 늘 남성 동료에게 답변을 구하거나 결정을 미루죠. 그런 일이 계속 이어졌어요. 게다가 저는 유색인종입니다. 그것은 시스템 작동 방식에서 사회에 내재된 편견에 불과합니다. 과거의 젊은 저를 마주한다면 ‘더 대담해져!’라고 말할 거예요. 모든 것을 부수라는 뜻이 아니라, 대담함과 자신감을 더 가져도 된다는 거죠. 어릴 때 자신감이 더 넘쳤다면 얼마나 좋았을까요. 하지만 남성 동료와 여성이 패션계에서 대등하게 활약하도록 이끌어주는 모멘텀과 에너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계속될 수 있고, 계속돼야 합니다. 역사적으로 여성은 늘 여성을 위한 자리 하나를 놓고 서로 경쟁해야 한다는 느낌이나 의식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서로를 집단적으로 지원하고, 서로 발전하도록 밀어줘야 합니다. 당신이 업무적으로 포용적일 때,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팀으로서도 더 풍성해지고요. 그런 포용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면 더 나은 제품을 내놓을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지닌 비전이자 가야 할 여정입니다.
MARYSIA WORONIECKA,
Maria Cornejo CEO
최상의 제품은 물론 고객과 강력히 연결된 독립 브랜드를 이끄는 수많은 여성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대기업 경영진 중에서 여성의 숫자가 확실히 부족해 보입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성공하려면 여성이 견디지 못하는 방식으로 정치할 사람이 필요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저는 경력 개발을 하면서 성별 관련 장애물을 많이 맞닥뜨리진 않았습니다. 아이가 없거든요. 그래서 여성성과 관련된 측면으로 힘든 적은 없었습니다. 하지만 성공적으로 경력을 쌓으면서도 자녀를 키우는 친구나 동료에게는 예외 없이 직접 양육을 전담할 배우자가 있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그리고 이들 대부분은 자기 사업체를 운영해왔고, 자신의 일정을 결정할 수 있는 여성이었죠. 저는 몇 년 동안 홍보 대행사에서 일하다가 아주 어린 나이에 제 사업에 뛰어들었습니다. 과거로 돌아갈 수 있다면, 사업에 뛰어들기 전 금융 및 비즈니스 교육을 탄탄하게 받으라고 자신에게 말해주고 싶어요. ‘일하는 것’과 ‘사업체 운영’의 차이점을 제대로 이해하라고도 일러둘 겁니다. 이 두 가지는 많이 달라요. 많은 사람이 결과물과 창의성에 대한 열정 때문에 패션에 입문하죠. 그런 다음에야 그것도 ‘비즈니스’라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LAURA WEIR,
Selfridges Chief Creative
10년 동안 대표적이고 포용적인 리더십의 인력 부족을 메우기 위한 긍정적인 변화를 업계 전반에서 목격했습니다. 그러나 아직 갈 길이 멀죠. 제 성공의 중요한 열쇠는 기회와 전문 지식을 관대하게 공유하는 창의적이고 뛰어난 여성과의 네트워크 형성이었습니다. 그리고 우리 사이에는 의미 있는 변화를 이루려는 암묵적인 야망이 있습니다. 여성에게는 다른 여성이 일에 기여하고, 그다음 성장하고, 성공하고, 함께 나아가도록 이끄는 힘이 있습니다. 성공한 여성은 다른 여성이 성공할 수 있는 더 많은 기회를 창출합니다. 여성뿐 아니라 남성에게도 일과 삶의 균형 유지는 힘든 일입니다. ‘여성의 역할’을 둘러싼 사회적 기대와 더불어 상급자가 감당해야 할 힘든 측면으로 직장 내 여성의 발전은 엄두도 못 낼 일이 될 수 있습니다. 저는 운이 좋았습니다. 직장 생활 내내 남성 상사에게 어머니와 미혼모로서 지지만 받아왔습니다. 저를 이끌어주는 그들의 접근 방식 덕분에 뿌듯함을 느낄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제 일을 한층 더 소중히 여기고 감사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리더십과 영향력을 발휘하는 지위에 있는 유명한 여성 롤모델이 악순환의 고리를 끊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봅니다. CEO를 떠올리면, 그 사람은 여성일까요? 여성을 위해 제품을 만들고 여성에게 마케팅하는 패션계에서, 여성 리더는 분명 가치를 지닌 사람들입니다. (VK)
추천기사
-
패션 뉴스
CEO들이 밝힌 패션계 여성의 커리어란
2025.02.19by VOGUE, Elektra Kotsoni, Hilary Milnes
-
셀러브리티 스타일
시스루보다 로맨틱하고 하의 실종보다 현실적인, 올해의 트렌드
2025.02.19by 이소미
-
패션 트렌드
상극에서 단짝으로 거듭난 레깅스와 부츠
2025.02.18by 안건호
-
셀러브리티 스타일
티모시 샬라메-카일리 제너 커플의 시상식 스타일링
2025.02.17by 오기쁨
-
여행
출국 전 체크! 인천국제공항의 새로운 스폿
2025.01.24by 이정미
-
리빙
새해와 함께 찾아온 신간 3
2025.01.08by 이정미
인기기사
지금 인기 있는 뷰티 기사
PEOPLE NOW
지금, 보그가 주목하는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