숏폼, 참을 수 없는 순간의 즐거움
짧은 영상을 즐기기 좋은 숏폼의 매력에 많은 이들이 푹 빠졌습니다. 숏폼 콘텐츠는 각종 밈(Meme)의 시작이 되기도 하고, 때로는 강렬한 임팩트를 주기도 합니다.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틱톡 등 숏폼 플랫폼도 다양한데요, 지금 숏폼의 인기는 어느 정도일까요?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는 ‘숏폼 플랫폼’과 ‘OTT 플랫폼’의 사용 시간을 비교 조사해 발표했습니다. 한국인 스마트폰 사용자를 표본 조사한 결과입니다.

지난달 숏폼 플랫폼(유튜브, 틱톡, 인스타그램)의 1인당 사용 시간은 월평균 46시간 29분. OTT 플랫폼(넷플릭스, 웨이브, 티빙, 디즈니+, 왓챠, 쿠팡플레이)의 1인당 사용 시간은 월평균 9시간 14분으로 나타났습니다. OTT에 비해 숏폼 사용 시간이 다섯 배 이상 길죠.
그렇다면 숏폼 플랫폼의 인기 순위는 어떤지 살펴볼게요. 숏폼의 대표 주자인 틱톡 앱은 1인당 월평균 사용 시간이 21시간 25분입니다. OTT 플랫폼 대표 주자인 넷플릭스 앱이 7시간 7분으로 나타났으니 무려 세 배나 이용 시간이 긴 셈입니다.

CJ ENM이 최근 발간한 <2023 디지털 라이프스타일 리포트 ‘여가∙취미 편’>에 따르면, 온라인을 통한 여가 활동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게 ‘영상 콘텐츠 시청’인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특히 10대의 일평균 숏폼 채널 이용 시간이 63분으로 압도적으로 길게 나타났습니다. 이어 20대(39분), 30대(33분), 50대(30분), 40대(29분) 순이었으며, 전체 연령대의 일평균 숏폼 채널 이용 시간은 35분을 기록했죠.

숏폼을 보는 가장 큰 이유는 ‘재미있는 콘텐츠가 많아서’였는데요. 긴 호흡을 가진 드라마나 영화와 달리, 짧고 강렬한 영상은 도파민을 폭발시켜 중독되게 하죠.
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습니다. 뇌가 빠르고 강렬한 자극에 익숙해져 더 즉각적인 자극에만 반응하게 되는 현상을 ‘팝콘 브레인’ 현상이라고 말하는데요. 숏폼을 오래, 많이 볼수록 뇌는 자극에 무뎌지고 결국 팝콘처럼 튀어 오르는 더 센 자극만 찾게 되기 때문이죠.
콘텐츠를 보는 것 자체가 나쁜 것은 아닙니다. 다만 자극에 중독돼 의미 없이 화면을 넘기며 숏폼을 보는 데 들이는 시간이 너무 길다면, 적당히 줄이는 게 좋겠죠.
- 포토
- Unsplash
추천기사
-
웰니스
신진대사를 가속화하는 천연 보충제, ‘초록 커피’의 정체
2025.03.29by 윤혜선, Alice Nardiotti
-
웰니스
슈퍼푸드 요거트와 케피르, 어느 것이 더 건강할까?
2025.04.19by 장성실, Ana Gándara
-
웰니스
당신이 요즘 불안하고 불쑥 짜증이 밀려오는 이유
2025.04.14by 주현욱
-
웰니스
전문가가 추천하는 비타민 D가 풍부한 식품 7
2025.04.19by 김초롱, Audrey Noble
-
웰니스
영양사들이 '이 요거트'를 주의하라고 합니다
2025.03.30by 김현유, Lorena Meouchi
-
웰니스
30일간 매일 커피 대신 녹차를 마시면 일어나는 일
2025.03.28by 장성실, Maria Goldbach
인기기사
지금 인기 있는 뷰티 기사
PEOPLE NOW
지금, 보그가 주목하는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