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테인먼트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새롭게 지정된 한국 고전 영화 4

2025.02.13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새롭게 지정된 한국 고전 영화 4

한국 고전 영화 4편이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됐습니다. 이로써 현재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된 영화는 8편의 기존 작품과 이번에 등록된 4편을 포함해 총 12편이 되었죠. <낙동강>부터 <하녀>까지,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새롭게 지정된 작품들의 시대적, 기술적, 예술적 가치에 대해 소개합니다.

낙동강

국가유산청

전창근 감독이 한국전쟁 중이던 1952년 제작한 작품입니다. 대학 졸업 후 낙동강 유역으로 귀향한 주인공이 주민들을 계몽하고 살기 좋은 마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내용을 담았죠. 한국전쟁 당시 낙동강 전투 장면을 통해 전쟁의 참상을 보여줘 사료적 가치가 높은 영화입니다.

KMDb

1958년 개봉한 김소동 감독의 <돈>은 산업사회로 넘어가던 시기 농촌의 열악한 현실을 비극적으로 묘사한 리얼리즘 영화의 대표작입니다. 순박한 농사꾼인 주인공을 통해 당대 문제였던 농촌 고리대, 사기꾼의 성행 등 농촌 문제를 가감 없이 드러냈습니다.

하녀

KMDb

1960년 개봉한 김기영 감독의 <하녀>는 한국 영화사의 대표작으로 손꼽힙니다. 신분 상승을 꿈꾸는 하녀와 중산층 가족을 중심으로 인간의 욕망과 억압, 공포와 불안 등 한국 사회의 긴장과 모순을 담아냈습니다. 박찬욱, 봉준호 감독뿐만 아니라 할리우드 감독 마틴 스코세이지도 작품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죠.

성춘향

KMDb

1961년 개봉한 신상옥 감독의 <성춘향>은 국내 흥행은 물론, 해외 영화제에도 출품돼 국내외에서 인정받은 영화입니다. 특수 렌즈로 찍은 촬영본을 와이드 스크린에 생생한 색감으로 구현한 한국 최초의 컬러 시네마스코프 영화로, 한국 영화 산업의 기술적 변화를 보여줍니다.

이번에 등록된 작품 4편은 앞서 등록된 청춘의 십자로(1934년), 미몽(1936년), 자유만세(1946년), 검사와 여선생(1948년), 마음의 고향(1949년), 피아골(1955년), 자유부인(1956년), 시집가는 날(1956년)과 함께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보존 및 관리되며, 한국 영화의 가치를 널리 알리는 자료로 활용됩니다.

포토
국가유산청, KMDb

SNS 공유하기